제4강. 관찰의 유형: 질적 관찰(FGI, 심층면접)
질적 연구라 함은 사회적 관계의 숨겨진 의미와 유형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비수치적인 관찰 조사와 해석, 현장 조사의 분석 방법이라고 했습니다. 이러한 질적 연구에서 대표적인 관찰 방법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 포커스그룹, 초점집단)와 심층면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질적 관찰의 유형 : 면담
>면담-설문조사와의 차이?

표준화된 질문이 아닌 심층적으로 논의될 일련의 주제에 기초, 질문자와 응답자 사이의 상호작용 있음, 질문계획이 있긴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말을 어떤 순서로 질문할 것인지는 정하고 있지 않음
>면담(Interview):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대한 관심, 개인 혹은 다수 연구 참여자 간에 대화의 형식으로 진행
>면담의 형식

구조화된 면담가이드에 의한 면담(structured interview): 면담자는 응답자에게 동일한 질문, 질문은 자연스러운 대화라기 보다 질문지에 제시된 항목이나 목록, 연구의 객관성 확보 가능

반구조화된 면담가이드에 의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더 깊게 피면담자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 상황에 따라 질문 순서나 속도, 폭과 범위를 유연하게 변화
>면담 대상자는 어떻게 결정?

표본 설계
편리성(Convenience): 이미 알고있는 사람들, 즉시 만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사람들
눈덩이(Snowball): 인터뷰 참여자들이 연구자의 인터뷰에 관심있는 사람에게 연결해 줌
의도성(Purposive): 특정한 특징이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면담의 유형
2. 면담의 유형 : FGI(Focus Group Interview)
>초점집단(Focus Group): 사회자에 의해 진행되는 8~12명으로 구성된 작은 단위의 그룹 토론, 함께 모여 면접하는 피험자집단으로 논의의 증진을 위해 일시적으로 소집

문제에 관련된 주요 공중들의 태도나 숨겨진 의향을 알아볼 때 활용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기 위한 효과적인 리서치 도구, 서베이 질문을 만들어 낼 때 도움되는 첫 단계

>초점집단의 특성

동질성(Homogeneity): 동질적인 사람들끼리 모여 서로 토의를 해야한다는 것
(토론 시 원활한 대화가 이루어지고 정보 교환도 쉽게 이루어짐, 서로의 의견을 동의하면서 상대방이 의견을 계속 개진하도록 북돋아 줌)

분할성(Segmentation):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여러 포커스 그룹의 모임을 가져야 한다는 것
(서로 의견이 다른데 한 포커스 그룹에 있으면 한 쪽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때 반대 의사를 가진 쪽은 말없이 고개만 끄덕이는 등 적극적인 의사를 내세우지 않을 수 있음)
(연령차가 너무 많거나 사회적 계층이 명확한 사람끼리는 한 그룹에 넣지 않음)
>초점집단 성공의 주요 요소 : 참석자 모집, 사회자, 분석

참석자 모집
(목적에 부합되는 대상자가 정확하게 모이는 것이 데이터의 타당성을 높이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 , 승낙의 어려움,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를 위해 설득력)
참가자들은 자발적으로 참가해야 하며 그들에게 해를 입혀서는 안됨

사회자
(다양한 의견 청취할 때 개인에 대한 판단을 피하고 객관적이며 각각의 개인을 존중해야 함, 참가자에게 말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제공, 적당한 분위기 조성 등)
참여자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특정한 방향으로 가도록 유도해서는 안됨, 바람직한 응답만을 끌어내기 위한 질문을 하는 것은 비윤리적
>초점집단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적은 수의 자발적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빠르고 비용이 적음 |
적은 수의 자발적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의 어려움 |
예상할 수 없었던 주제 탐색, 비언어적 응답 | 그룹의 역동성과 사회자의 기술에 의존 |
3. 면담의 유형 :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일대일(1:1) 심층면접: 일대일 대화, 1시간 이상 지속되며 전에 만난적이 없는 두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
>심층면접 성공의 주요 요소 : 친밀감, 질문의 순서

친밀감(Rapport): 마음이 열리고 신뢰하는 관계, 서로 마음이 통하는 상태
(질문자는 반드시 면접 대상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임할 수 있게 해야하며 신뢰에 기반한 관계를 구축)
(질문자들의 질문 형식, 언어적/비언어적 보상, 편안함 등에 의해 성취)

질문의 순서
(주로 개방형 질문 이용, 시작부터 가장 중요한 질문을 물으려 하지 말 것, 일반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긍정적인 것에서부터 부정적인 것으로)
>심층면접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응답자가 왜 그런 답변을 했는지 세부적인 배경까지 알 수 있음 |
질문자와의 관계, 소통 정도 등 분위기에 영향받고 질문자의 편견이 작용 |
응답자의 비언어적 반응까지도 잘 관찰 | 자료 분석의 어려움, 일반화의 어려움, 긴 시간 |
관찰의 유형: 질적 관찰(FGI, 심층면접)
지난 시간까지 연구자가 사회과학적 연구를 위해 알아둘 개념, 방법론과 연구윤리 그리고 표집에 대해 배웠습니다. 특히 표집에서는 연구자가 어떻게 주제를 정하고 가설을 세우느냐에 따라서
blog.daum.net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 구조화 인터뷰 (0) | 2022.04.21 |
---|---|
심층인터뷰 방법(구조화-반구조화-등) (0) | 2022.04.21 |
전후 비교 / 대응표본 비모수검정 -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Wilcoxon signed-rank test . R: wilcox.test() (0) | 2022.04.08 |
비모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0) | 2022.04.08 |
논문 변수의 종류 (0) | 2022.04.08 |